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갑상선과 부갑상선의 역할과 기능

by 임채찌 2023. 2. 17.
반응형

갑상선

갑상선은 목의 후두와 기관지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나비 모양의 내분비선으로 무게가 20g입니다. 갑상선에서는 신진대사를 조절하는 호르몬인 티록신과 혈장 칼슘 농도를 조절하는 칼시토닌이 분비됩니다.

 

(1) 티록신

갑상선에서 주로 분비되는 호르몬인 티록신은 아미노산 유도체 호르몬으로 요오드가 4개 결합되어 있으며, 요오드가 3개 결합되어 있는 트리요오드타이로닌도 소량 분비됩니다. 이들은 조직세포의 신진대사율을 적절한 수준으로 유지하고 조절하는 기능을 합니다.

 

1. 생성과 작용 : 갑상선 소포의 선세포에서 아미노산인 티로신과 요오드를 사용하여 갑상선호르몬을 합성합니다. 티록신은 아미노산인 티로신에 요오드가 4개 붙은 것이고, 트리요오드타이로닌은 티로신에 요오드가 3개 붙은 형태입니다. 순환하는 혈액 내의 갑상선호르몬은 95%가 티록신이지만, 티록신은 표적세포 안에서 트리요오드타이로닌으로 전환되어야 정상적인 활성을 가집니다. 즉, 효과의 강도에 있어서는 트리요오드타이로닌이 티록신보다 효력이 10배 더 강합니다. 요오드 섭취는 갑상선호르몬 합성에 필수적이므로 요오드가 부족한 지역에 사는 주민에게 풍토병이 발생하여 갑상선종이 발생하기도 하며, 요오드를 섭취하면 갑상선종이 치료되는 것을 보여줍니다. 갑상선호르몬의 생성과 분비는 뇌하수체의 갑상선자극호르몬에 의하여 조절됩니다.

갑상선호르몬은 모든 기관의 산소 소모율을 증가시켜 신진대사를 촉진하는 작용을 하는데, 특히 기초대사를 항진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또는 뼈의 발육을 촉진하여 신체의 성장에 관여하고 정신 기능을 자극하는 작용을 하여 지능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있습니다.

 

2. 갑상선 기능 이상 : 갑상선 기능의 이상 항진으로 갑상선호르몬이 과다하게 분비되면 기초대사가 증가하고 발한, 빈맥, 손의 떨림, 안구돌출, 정신적 흥분으로 인한 신경질적 상태, 갑상선의 비대로 인한 갑상선종이 생기는 바제도병이 나타납니다. 바제도병은 대체로 중년 여성에게 많이 나타나며 갑상선종, 빈맥, 안구돌출이 병의 3대 증상입니다.

갑상선 기능의 이상 저하로 갑상선호르몬이 부족하면 체내 신진대사 저하로 인한 증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호르몬의 분비가 소아기에 부족한 경우에는 성장발육에 장애가 생기는 갑상선성 소인으로 되는데, 이를 크레틴병이라 합니다. 이 경우에는 중추신경계의 발육 저하를 동반하여 지능 저하도 함께 나타납니다. 성인이 된 다음에 갑상선 기능 저하가 생기면 기초대사 저하, 정신 기능 저하와 함께 피하에 점액 물질이 쌓여 부종같이 되는 점액수종이 나타납니다. 

 

(2) 칼시토닌

칼시토닌은 혈장 칼슘 농도를 저하시키는 역할을 하는 호르몬으로, 혈액에서 뼈로 칼슘을 이동하여 조골 세포의 활성을 증가시켜 뼈에 칼슘을 침착하며, 칼슘의 유리를 억제하여 혈액 내 칼슘 농도를 감소시키는 작용을 합니다. 또한 신장에서 칼슘의 재흡수를 억제하는 작용을 합니다. 혈액 칼슘 농도가 증가하면 칼시토닌의 분비가 증가하고, 혈액 칼슘 농도가 낮아지면 칼시토신 분비가 억제됩니다.

 

부갑상선

부갑상선은 갑상선 뒤쪽에 상하 각 1쌍씩 4개가 있는 쌀알 크기의 내분비선이며, 여기에서 펩티드 호르몬인 부갑상선호르몬이 분비됩니다.

 

(1) 부갑상선호르몬의 작용

부갑상선호르몬은 혈액 중의 칼슘 농도를 높이는 작용을 합니다. 즉, 갑상선에서 분비되는 칼시토닌과는 반대 작용을 합니다. 혈장의 칼슘 농도가 낮으면 부갑상선호르몬이 분비되어 소화기와 신장과 뼈에 작용하여 칼슘을 이동시켜 혈장 칼슘 농도를 9~11mg/dL로 유지시킵니다.

부갑상선호르몬은 비타민D를 활성형인 칼시트리올로 전환시킴으로써 활성형 비타민D가 소장에서 칼슘의 흡수를 돕고, 신장에서 칼슘의 재흡수를 높이고 뼈의 칼슘을 혈장으로 이동하도록 하여 혈장 칼슘 농도를 상승시키는 것입니다.

 

부갑상선호르몬에 의한 혈장 칼슘 농도 조절
부갑상선호르몬에 의한 혈장 칼슘 농도 조절

 

(2) 분비 이상

부갑상선호르몬의 분비가 부족하여 혈장 칼슘 농도가 정상치의 1/2 정도로 낮아져서 테타니가 되면 근육의 경련과 경직이 일어나며, 심한 경우 호흡곤란과 질식을 일으켜 사망에까지 이르게 합니다. 그 원인은 혈중 칼슘 이온의 저하로 신경근접합부의 흥분성이 높아져 자극에 대한 감수성이 높이지가 때문입니다. 반대로, 호르몬의 분비가 이상적으로 항진되면 뼛속의 칼슘이 혈액 중으로 과다 분비되어 혈액 칼슘 농도의 이상적 증세가 나타납니다. 그 결과 뼈가 단단하지 못한 골다공증이 발생하고, 혈관이나 내장 등의 연조직의 경화가 나타나며, 신장 결석을 형성하기도 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