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체 각 부위의 감각기관에서 받아들인 자극을 뇌와 척수 같은 중추신경계로 보내고, 중추신경계에서 통합 처리된 결과에 따른 명령을 신체 각 부분의 효과기, 즉 골격근이나 내장근 및 분비선에 전달하는 신경계를 말초신경계라 합니다. 뇌신경과 척수신경 같은 체성신경계와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 같은 자율신경계가 말초신경계를 구성합니다.
체성신경계
체성신경계는 수용기가 받은 자극을 중추신경계로 보내고 중추의 명령을 효과기로 보내는 역할을 하는 신경계로서, 운동신경과 감각신경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체성신경계는 수의적 반응에 관여하며 중추신경계의 명령을 골격근으로 전달합니다.
1. 뇌신경 : 뇌신경은 뇌에서 나와 얼굴에 분포하는 좌우 12쌍의 신경입니다. 뇌에서 시작하는 기점을 기준으로 하여, 뇌의 윗부분부터 순서대로 번호를 붙여 부르며 특징에 따라 명칭을 붙이기도 합니다. 제1,2,8 뇌신경은 감각신경이고, 제3,4,6,11,12 뇌신경은 운동신경이며, 제5,7,9,10 뇌신경은 감각과 운동의 혼합신경입니다. 제3,7,9,10 뇌신경은 자율신경인 부교감신경의 원심성 신경섬유를 포함합니다.
2. 척수신경 : 척수에서 나와 신체에 분포되어 각 부분의 운동을 지배하는 좌우 31쌍의 신경을 척수신경이라 합니다. 신경이 빠져나가는 척추의 부위를 기준으로 경수에서 나오는 경신경 8쌍, 흉수에서 나오는 흉신경 12쌍, 요수에서 나오는 요신경 5쌍, 천수에서 나오는 천골신경 5쌍, 미수에서 나오는 미골신경 1쌍으로 구성됩니다. 척수신경은 모두 혼합신경으로 척수 사이에 있는 추간공에서 1쌍씩 나와 규칙적으로 신체에 분포됩니다. 척수신경은 원심성 운동신경인 전근과 구심성 감각신경인 후근으로 이루어집니다. 이처럼 전근이 운동신경, 후근이 감각신경으로 되어 있는 것을 벨-마장디 법칙이라고 합니다. 척수에서 나와 복잡한 망조직을 형성하며 전신의 말초조직으로 분포되어 있는 척수신경총은 정교하게 배열되어 있습니다.
자율신경계
말초신경계에는 운동이나 감각을 맡은 체성신경계 외에 자율신경계가 있어 심장, 소화기, 생식기, 외분비선, 내분비선 등과 같이 생명유지에 필요한 장기들의 운동과 분비 기능을 자율적으로 조절하고 있습니다. 자율신경계의 중추는 간뇌의 시상하부이며,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으로 구성됩니다. 대부분의 내장은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으로 함께 분포되어 있어 이중 지배를 받고 있습니다.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은 서로 길항작용을 하여 한쪽이 흥분을 촉발할 때 다른 쪽은 반대로 억제 작용을 함으로써, 신체의 항상성 유지에 관여합니다.
대부분의 자율신경은 중추신경계로부터 특정 내장기관까지 2개의 뉴런으로 구성되어 있어 신경절에서 시냅스를 이룹니다. 즉, 교감신경과 일부 부교감신경은 중추신경계를 빠져나온 후에 표적기관인 장기에 도달하기 전에 신경절을 거치며 뉴런을 교대하는데, 중추신경에서 신경절로 들어가는 신경을 절전 뉴런이라고 하고, 신경절에서 나가 장기에 도달하는 신경을 절후 뉴런이라고 합니다. 그러나 부교감신경 중 내장기관에 뻗어있는 미주신경 등 일부 뇌신경과 천골신경은 신경절을 거치지 않고 중추신경계로부터 내장기관까지 한 개의 절전 뉴런으로 뻗어 있습니다.
1. 교감신경 : 교감신경의 활동은 정신적으로 긴장 또는 흥분하거나 운동을 하면 항진됩니다. 교감신경의 활동이 항진되면 심장에서는 심박수와 심박출량이 증가되는 등 심장의 기능이 촉진되고, 혈관의 수축이 촉진되어 혈압이 올라갑니다. 반면에 소화액의 분비는 억제되고, 비뇨생식계의 운동 및 분비도 억제됩니다. 교감신경은 척수 속의 흉수와 요수에서 나와서 신경절을 거치며 뉴런을 바꾼 후에 각 장기와 피부, 땀샘 등에 분포합니다.
2. 부교감신경 : 부교감신경은 보통 안정상태에서 기능을 합니다. 부교감신경의 작용은 교감신경과는 반대로 심장 기능의 억제, 혈관의 확장, 소화관 운동과 소화액 분비의 촉진 등에 관여합니다. 동안신경 중의 부교감신경은 동공을 축소시키고 모양체근을 수축하여 수정체를 볼록하게 하며, 설인신경 중의 부교감신경은 타액의 분비를 촉진시킵니다. 척수에서 나오는 부교감신경은 하행결장, 직장, 방광근 등의 수축을 촉진합니다.
3. 자율신경계의 신경전달물질 : 신체의 각 내장 기관에 분포되어 있는 교감신경계와 부교감신경계가 길항작용을 통해 이들 기관을 이중지배 함으로써 신체의 항상성을 유지하는 것은 이들 신경의 말단에서 분비되는 신경전달물질이 내장기관에 미치는 효과가 서로 다르기 때문입니다. 모든 자율신경의 절전 뉴런에서는 아세틸콜린이 분비되지만, 절후 뉴런 말단에서는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이 분비하는 신경전달물질이 각각 다릅니다. 교감신경의 절후 뉴런에서는 노르에피네프린이 분비되고, 부교감신경의 절후 뉴런에서는 아세틸콜린이 분비됩니다. 아세틸콜린을 분비하는 신경섬유를 가진 뉴런을 콜린작동성 뉴런이라고 하고, 노르에피네프린을 분비하는 신경섬유를 가진 뉴런을 아드레날린 작동성 뉴런이라고 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