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상하부
시상하부의 특정 부위의 신경은 뇌하수체 전엽 호르몬의 분비를 조절하는 뇌하수체자극호르몬을 분비합니다. 이들 시상하부 호르몬은 시상하부 뇌하수체 문맥 혈관에 의해 뇌하수체 전엽으로 이동되어 뇌하수체 전엽 세포가 그들의 호르몬 분비를 조절하도록 작용합니다.
갑상선자극호르몬-방출호르몬은 갑상선자극호르몬의 분비를 촉진하고, 부신피질자극호르몬-방출호르몬은 부신피질자극호르몬 분비를 촉진합니다. 성장호르몬-방출호르몬은 성장호르몬의 분비를 촉진하며, 성선자극호르몬-방출호르몬은 황체형성호르몬과 난포자극호르몬의 분비를 촉진합니다. 뇌하수체 전엽 호르몬의 분비를 자극하지 않고 오히려 억제하는 호르몬이 두 가지 존재하는데, 소마토스타틴은 성장호르몬의 분비를 억제하고, 도파민은 프로락틴의 분비를 억제합니다. 따라서 성장호르몬은 두 종류의 뇌하수체자극호르몬 즉, 분비를 촉진하는 성장호르몬-방출호르몬과 분비를 억제하는 소마토스타틴에 의하여 분비가 조절됩니다.
시상하부에서는 뇌하수체 후엽 호르몬을 생성하여 신경로를 거쳐 내려가서 뇌하수체 후엽에 저장했다가 필요시 분비합니다.
뇌하수체
뇌하수체는 대뇌 아랫부분의 시상하부 아래에 위치한 대두 크기의 내분비선으로, 위치상으로 볼 때 신경계와 내분비계를 연결하는 역할을 합니다.
전엽, 중엽, 후엽으로 나누어지며 사람의 경우에 성인이 되면 중엽은 흔적만 남습니다. 전엽과 후엽은 각각 다른 호르몬을 분비합니다.
(1) 뇌하수체 전엽
뇌하수체 전엽에서는 성장호르몬, 갑상선자극호르몬, 부신피질자극호르몬, 성선자극호르몬인 난포자극호르몬과 황포형성호르몬, 유즙분비자극호르몬인 프로락틴 등의 여섯 가지 호르몬이 분비되는데 이들은 모두 단백질인 펩티드 호르몬이거나 당단백질계 호르몬입니다. 그중 갑상선자극호르몬과 부신피질자극호르몬, 난포자극호르몬과 황체형성호르몬은 다른 내분비선의 작용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는 자극호르몬입니다.
뇌하수체 전엽에서 분비되는 성장호르몬과 프로락틴 및 4종의 자극호르몬의 작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성장호르몬 : 일정한 특정 표적기관이 없이 신체의 모든 조직에 영향을 주어 성장을 촉진시키는 작용을 하는 호르몬입니다. 성장호르몬은 세포의 크기와 수를 증가시키는데, 뼈의 말단에 있는 연골의 증식을 촉진하여 키를 크게 하고, 단백질의 합성을 촉진하여 근육과 체중을 증가시킵니다. 또한 혈당을 상승시키고 지방 대사를 촉진하는 작용도 합니다. 성장호르몬의 분비는 저혈당증, 스트레스, 조직에 손상이 있는 경우와 임신기 등에 증가되며 평상시에는 취침 후 2시간 동안 성장호르몬의 분비가 가장 왕성합니다. 고혈당증에서는 호르몬의 분비가 감소됩니다. 성장호르몬의 분비는 시상하부의 호르몬에 의해 조절됩니다. 성장기에 성장호르몬의 분비가 부족하면 키가 작고 근육도 부족한 뇌하수체성 소인이 되고, 반대로 과다하게 분비되면 키가 정상에 비해 매우 크게 되는 거인증이 됩니다. 한편, 성인이 된 후에 성장호르몬의 분비가 과다하면 인체의 말단인 손, 발, 광대뼈, 턱, 눈두덩이 등의 골격이 튀어나오는 말단비대증이 됩니다.
2. 프로락틴 : 유선에 작용하여 유즙의 생성을 촉진하므로 분만 후에는 프로락틴의 분비가 항진되어 유선에서 유즙이 분비됩니다. 프로락틴의 분비는 수유에 의해 증가되며, 수유 중에는 난소주기가 억제되어 임신이 억제됩니다. 또한 남성 생식계를 조절하며 신장에서는 물과 전해질의 평형을 조절하는 역할을 합니다.
3. 갑상선자극호르몬 : 갑상선호르몬의 생성 및 분비를 촉진하는 작용을 하여 갑상선호르몬의 분비를 조정합니다.
4. 부신피질자극호르몬 : 부신피질자극호르몬인 글루코코르티코이드와 알도스테론, 그리고 부신 안드로겐의 생성 및 분비를 자극합니다.
5. 난포자극호르몬 : 당단백질 호르몬으로 난자의 성숙과 난포의 성장을 촉진하며 난포호르몬인 에스트로겐의 생성과 분비를 자극합니다. 또한 남자의 경우에는 정소 세포에 작용하여 정자의 형성을 촉진합니다.
6. 황체형성호르몬 : 당단백질 호르몬으로 여성에서는 난포가 배란 후에 황체를 형성할 때, 황체의 형성을 촉진하며 황체호르몬인 프로게스테론의 생산을 자극하는 작용을 합니다. 남성에서는 남성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의 생성 및 분비를 촉진합니다.
(2) 뇌하수체 후엽
뇌하수체 후엽에서는 펩티드 호르몬인 옥시토신과 항이뇨호르몬을 분비합니다. 옥시토신과 항이뇨호르몬은 시상하부에서 생성되어 뇌하수체 후엽에 저장되었다가 필요시 분비되므로 신경하수체 호르몬이라고도 합니다.
1. 옥시토신 : 옥시토신은 임신 말기에 자궁 근육에 작용하여 자궁을 수축하여 분만할 수 있도록 하는 호르몬으로서 진통촉진제로도 사용됩니다. 또한 유즙 분비 작용이 있어 수유 시에 유즙 배출을 촉진합니다.
2. 항이뇨호르몬 : 항이뇨호르몬은 혈액의 삼투압이 높아졌을 때에 신장의 원위세뇨관에서 수분의 재흡수를 촉진시켜 소변의 배설량을 감소하는 작용을 합니다. 그 결과 혈액의 삼투압은 300mOsm/L로 조절됩니다. 술을 마시면 항이뇨호르몬의 분비가 억제되어 소변량이 많아지고, 추위에 노출되면 혈액이 중심부에 모이게 되어 중심부 혈액의 수분 비율이 높아져 삼투압이 낮아지게 되므로 항이뇨호르몬 분비가 감소되어 소변을 자주 보게 됩니다.
이 호르몬을 과량 투여하면 혈관을 수축시켜 혈압을 높이는 작용을 하기 때문에 바소프레신이라고도 합니다. 분비가 부족할 때에는 요붕증이 나타납니다.
(3) 뇌하수체 중엽
뇌하수체 중엽에서는 멜라닌세포자극호르몬이 분비되어 멜라닌의 합성을 촉진하고, 피부와 눈 그리고 뇌에서 멜라닌 색소의 형성을 조절합니다. 이 호르몬의 과다 분비는 피부에 과다 색소침착을 일으키는 에디슨 병을 유발합니다.
댓글